
테슬라가 지난밤(우리나라 기준 3.29 새벽)에 SEC에 발행 주식수 증가 승인 요청을 하면서 +8% 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SEC에 발행 주식 수 증가 요청을 한 것이 테슬라가 주식분할과 함께 주식배당을 할 것이라는 뉴스가 나오면서 주가가 올랐다고 합니다.
sec, 주식분할, 주식배당이 무슨 말인지 왜 주가가 오르는 것인지 하나하나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EC란?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의 약자로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입니다.
미국 주식의 전반적인 것을 관리하는 기관입니다.
주식분할이란?

자본의 증가 없이 주식의 총 수를 늘리고 이를 주주들에게 소유 지분에 따라 나누어주는 것을 말합니다.
주식분할은 자본의 증가가 없기 때문에 주식의 총 수를 늘린다고 해서 그 전체 가치가 올라가는 것은 아닙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테슬라가 1주에 100만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기존 1주를 10주로 분할하겠다고 발표했다면, 10만 원짜리 10주가 되는 것입니다. 내 계좌의 주식 수는 9개가 더 늘어나겠지만 가격이 1/10만큼 줄었기에 총금액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주식 분할을 했다고 왜 주가가 오르게 되는 것일까요?
주식분할은 호재인가?
우선 주식분할은 호재입니다!!

주식분할이 호재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이 세계적인 기업들은 누가봐도 좋은 기업으로 보이기 때문에 너도 나도 사려고 합니다. 그러다보니 주가가 지나치게 오르게 되는데, 소액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너무 비싸서 접근성이 어렵게 됩니다. 한 주당 몇 천만원씩 하게 되면 좋은 기업이라도 돈이 없어서 못사게 되기 마련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거래하기 원활한 금액까지 그 문턱을 낮춰 소액 주주들도 매매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해 자금의 유입을 늘리는 것이 주식분할의 목적 입니다. 이는 해당 기업을 누구나 매수할 수 있게 되면서 자금의 유입이 더 많아질 것으로 예측되어 주식분할을 발표하게 되면 주가가 오르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지난 2020년 8월 11일 테슬라가 1:5로 분할한 날 이후 주가의 변동입니다.

주식분할의 단점?
주식 분할이 호재라면 기업의 가치가 변하지 않는다는데 계속 분할하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주식분할을 너무 많이되면 가격이 매우 낮아져서 일명 스캘퍼라고 불리는 초단기 트레이더들의 접근이 쉬워집니다. 초단기 트레이더들의 유입이 많아지게 되면 회사의 가치와는 관계없이 거래에 의해서 주가가 요동치게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제일 크게 비난하는 사람이 워렌버핏입니다.

주식분할을 하지 않는 대표기업

주식분할을 하지 않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워런 버핏의 회사인 버크셔 헤서웨이 클래스 A의 주가입니다. 현재 주가가 539,180 달러입니다.

환율을 따져보았을 때 한 주당 6억 5천만 원 정도 됩니다.
버크셔 헤서웨이의 주식 분할을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워런 버핏의 투자철학 때문이라고 합니다.
기업의 가치를 보고 좋은 기업을 골라 오랫동안 보유하는 투자 스타일의 워랜버핏은
기업의 가치에 대한 아무 이유 없이 매수하는 이들을 끌어들이게 되고 이들은 기업의 가치에 대한 아무 이유 없이 매도할 것이다.
라고 말하며 회사의 가치를 아는 투자자만 주주가 될 자격이 있다고 했답니다.
주식배당이란?
기업이 영업을 해서 남긴 순이익을 주주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을 배당이라고 하는데 흔히 돈으로 나누어 줍니다. 배당금이 이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주식배당은 돈 대신 새로 주식을 발행해서 주식으로 배당하는 것입니다.
배당금과 마찬가지로 기존에 주주가 보유한 주식 수에 따라 비례하게 배당을 받게 됩니다.
주식배당은 호재인가?
주식배당 또한 주식분할과 마찬가지로 자본의 증가 없이 총 주식 수만 늘리는 것이므로 표면상 주가가 낮아져 호재로 여겨집니다.
정리
주식분할과 주식배당은 완전히 다른 성격이긴 하지만 결국 전체 주식 수를 늘려 자금의 유입을 원활히 하고 주가를 올리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입니다. 또한 소수의 대주주만 이익을 보는 환경이 아닌 테슬라를 보유하고 있는 모든 주주에게 동등하게 호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해하고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환사채 공시 확인 방법 (카카오게임즈3) (0) | 2022.03.28 |
---|---|
전환사채 및 오버행 이슈 : 카카오게임즈 (0) | 2022.03.26 |
한일사료 폭등 : 애그플레이션 정리 (0) | 2022.03.25 |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블록딜 정리(호재 vs 악재) (0) | 2022.03.23 |
SM 과 카카오의 향후 전망 (0) | 2022.03.21 |
댓글